풍수인테리어소품 패철 풍수인테리어 풍수소품 기모아 쇼핑몰 031-898-1813

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게시판
  2. 패철 사용법

패철 사용법

패철 사용법에 대한 안내 게시판 입니다.

게시판 상세
패철이란?
  • Writer 대표 관리자
  • Date 2008-02-26 12:55:54
  • 추천 추천하기
  • Hit 1997
 

패철"이란?

 

佩鐵(패철)이라는 말은 일부 지사들이 나경을 허리에 차고 다녔

 

기 때문에 찰패(佩

 

) 쇠철(鐵)을 써서 佩鐵(패철)이라는 말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羅經(나경)이란 위로는 천지간에 나열되어 있는 모든 성신을 헤

 

아리고, 아래로는

 

산천의 솟아남과 水의 흐르는 형상의 기운을 陰陽의 이치로 살

 

필 수 있는 기구입 니다.

 

羅經(나경)이란 말은 "包羅萬象 經綸天地(포라만상 경륜천

지)"라 하여 만상의 펼

 

쳐지을 포괄할 수 있고 천진를 경륜할 수있다는 데서 포라만상

의 羅字와 경륜천지

 

의 經字를 합쳐 羅經(나경)이라 합니다.


 
 
 
나경패철의 개요

 

나경(羅經)은 우주의 삼라만성을 포함한 천지와 인륜의 이치가

 

담겨져 있다는 뜻의 '포라만상(包羅萬象) 경륜천지(經倫天

 

地)'에서 '나(羅)'자와 '경(經)'자를 따와서 붙여진 이름으로 허리

 

에 차고 다닌다하여 '패철(佩鐵)' 이라고도 하고 나침반을 뜻하

 

여 '쇠'라고도 합니다. 풍수지리에서 유일하게 필요한 도구로

 

용, 혈, 사, 수, 향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여 길한 방위와 흉한

 

방위의 판별을 하는데 사용합니다. 나경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

 

어 주나라 성왕 때부터 주역의 후천 팔괘를 응용하여 방위를 측

 

정하는 것부터 사용하다가 오랜 역사를 통하여 많은 성인들이

 

조금씩 발전시켜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나경의 원리는 우주의

 

운행 이치를 담고 있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며 36층으로 이루어

 

졌으나 풍수지리에서는 보통 9층까지만 사용합니다.

 

나경의 원리와 이치에 대해서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신 분은

 

청나라 때 왕도형(王道亨)이 저술한 '나경투해(羅經透解)'를 연

 

구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국내에서 완전하게 번역한 책은 없

 

고, 참고 할 만한 서적으로는 <신평, 신나경연구, 동학사>와 <

 

김동규역저, 지리나경투해, 명문당>이 있습니다.

 


나경 패철의 구조

 

나경의 원리는 태극에 있다. 태극은 음과 양으로 나누어지는데

 

나경패철의 한가운데 원으로 된 부분이 태극이며, 남북을 가르

 

치는 자침(磁針)이 음양이다. 원을 기준으로 하여 밖으로 나가

 

며 글자가 배열되어 있는 층을 순서대로 1층, 2층, 3층, 4층, 5

 

층, 6층, 7층, 8층, 9층으로 한다.

 

 

[ 나경 패철 그림보기 ]

 

 

제1층은 팔요황천살(八曜黃泉殺)을 표시해두었다. 모두 8개 방

 

위의 황천살을 나타낸다.

 

제2층은 팔로사로황천살(八路四路黃泉殺)로 황천 방위를 나타

 

내는 층이다.

 

제3층은 오행(五行)으로 목(木), 화(火), 금(金), 수(水) 사국(四

 

局)의 삼합오행(三合五行)을 표시해 두었다.

 

제4층은 지반정침(地盤正針)으로 기준선이며 24방위가 표시되

 

어 있다. 글자가 제일 크다.

 

제5층은 천산72룡(穿山七十二龍)으로 60갑자와 12개의 공란으

 

로 되어 있다.

 

제6층은 인반중침(人盤中針)으로 24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제7층은 투지60룡(透地六十龍)으로 60갑자가 표시되어 있다.

 

제8층은 천반봉침(天盤縫針)으로 24방위가 표시되어 있다.

 

제9층은 분금(分金)으로 120칸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48개의 갑

 

자가 표시되어 있다.


 
 
 
나경패철로 방위를 측정하는 방법

 

묘지나 택지 또는 건물의 측정하고자 하는 곳에 나경패철을

 

한다. 보통 나경패철의 자침은 북쪽을 가르치는 곳에 구멍을 뚫

 

어 놓았거나 빨강 색으로 칠해 놓았다. 또 자오선에 선을 그려

 

놓아 자침을 일치시키는데 편리하도록 하였다. 자침의 구멍 뚫

 

린 부분이 4층 자(子, 정북)의 중앙에, 반대쪽은 4층 오(午, 정

 

남)의 중앙에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나경패철의 정반정침(正盤

 

正針)이라고 한다.

 

 

묘지에서의 측정은 기존의 묘가 있는 곳은 묘 앞 상석 중앙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하고, 새로운 자리는 묘지의 혈심처 중앙

 

에 정반정침하고 4층 지반정침으로 묘의 좌향(坐向)을 측정한

 

다. 6층 인반중침으로는 주변의 산(사격)의 방위를 측정하고, 8

 

층 천반봉침으로는 득수처(得水處)와 수구(水口), 저수지나 호

 

수 등 물이 있는 방위를 측정한다.

 

용맥의 측정은 묘 뒤 입수도두처 중앙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

 

하고 4층 지반정침으로 용이 내려온 쪽을 보고, 용이 변화한 지

 

점의 방위를 측정한다. 이것이 입수1절룡이며 보통 입수룡(入

 

首龍)이라고 한다. 입수2절룡은 용의 변화지점에 다시 나경패

 

철을 정반정침하고 다음 변화 지점까지의 방위를 4층 지반정침

 

으로 측정한다. 입수3절룡, 입수4절룡 등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

 

하면 된다. 단, 현무봉에서 소조산(주산) 또는 중조산, 태조산

 

까지는 입수룡처럼 용맥의 한절 한절 변화한 지점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산봉우리 정상에서 다음 봉우리 정상까지 방위를

 

측정하여 어떤 방위로 용맥이 내려 왔는지를 판단한다. 이법론

 

에서 제일 많이 응용되는 부분은 입수1절룡이다. 입수1절룡의

 

정확한 측정이 제일 중요하다.

 

양택의 측정은 대지 중심점 혹은 건물 중심점에 나경패철을 정

 

반정침하고 대지와 건물의 형평을 참작하여 기점(기두)을 설정

 

한다. 기점은 단독 주택의 경우 건물의 무게 중심처이고 아파트

 

나 사무실 등은 현관문이 된다. 나경패철을 정반정침한 곳에서

 

기점(기두)의 방위를 4층 지반정침으로 측정하고, 기타 문, 방,

 

거실, 부엌, 수도, 하수구, 화장실 등의 방위를 측정한 다음 가

 

상법칙(家相法則)에 의해서 길흉화복을 판단한다.

 

가상법칙은 '풍수지리 이법론 가택구성법'을 참고하기 바란다.

 

양택에서 방위 측정은 4층 지반정침만을 사용하고, 24방위를 3

 

방위씩 나눈 팔괘방위가 기본 단위가 된다. 즉, 감(坎)은 임자계

 

(壬子癸) 3방위가 되고, 간(艮)은 축간인(丑艮寅), 진(震)은 갑묘

 

을(甲卯乙), 손(巽)은 진손사(辰巽巳), 이(離)는 병오정(丙午丁),

 

곤(坤)은 미곤신(未坤申), 태(兌)는 경유신(庚酉辛), 건(乾)은 술

 

건해(戌乾亥)가 된다.


 
 
패철사용법

 

패철을 사용해 주택이나 묘 자리의 방위는 좌향(座向)으로 나타

 

낸다. 주택의 좌향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한

 

다.

 

1. 건물 중심점(한옥일 경우에는 대청 마루 중앙)에 패철이 수

 

평을 유지하도록 놓는다.

 

 

2. 패철 내부를 들여다보고 자석이 북과 남을 향해 멈추도록 잠

 

시 기다린다.

 

3. 자석이 남과 북을 가리키고 정지되면 패철을 가만히 돌려 패

 

철의 자(子)자와 오(午)자의 연결선이 자석의 북과 남의 글자와

 

일치하게 한다. 이렇게 되면 자석 북쪽이 자자에 일치하고, 남

 

쪽 끝은 오자에 일치된다. 

 

 

4. 건물 후면의 중심점을 정한다.

 

5. 패철 24방위 글자 중에서 건물 후면의 중심점에 가장 가까운

 

방위 글자가 건물의 좌(座)가 된다.

 

6. 패철에서 좌의 반대편, 즉 마주 보는 글자가 이 건물의 향

 

(向)이 된다. 좌와 향은 180도를 이뤄 반대 방향을 나타내고 있

 

다.

 

 

건물 방위가 정남향인 경우에는 자좌오향(子座午向)이 되며, 반

 

대로 정북향이면 오좌자향(午座子向)이 된다. 또 건물이 정동향

 

이면 유좌묘향(酉座卯向)이 되고, 정서향이면 묘좌유향(卯座酉

 

向)이 된다. 건물이 동서남북의 중간 방위일 경우에도 패철에

 

나타난 글자에 의해 좌와 향을 구분한다.

 

주택의 방위를 보는 것은 좌향을 구분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것은 좌향에 의한 기운을 구분함으로써 주택의

 

길흉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주택은 외부 방위를 측정하기도 하

 

고, 내부 방위를 측정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주택 방위라고

 

하는 것은 외부 방위를 말하는데, 마당의 중심점에서 건물과 대

 

문 등 건물 방위를 측정한다. 내부 방위는 안방이나 화장실, 현

 

관, 부엌 등이 배치된 방위에 의한 기운을 해석하는 것으로, 주

 

택 내부의 중심점에서 각 방의 방위를 측정한다. 그러나 주택의

 

방위에 의한 기운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외부와 내부

 

방위를 함께 봐야 한다.

 

 

주택 방위는 크게 동사택(東四宅), 서사택(西四宅)으로 구분된

 

다. 동사택은 동기(東氣)가 흐르는 집이고, 서사택은 서기(西氣)

 

가 흐르는 집을 말한다. 이 구분은 마당 중심에서 주택의 중심

 

점을 방위로 측정해, 중심 부분이 동기의 방위인가 서기의 방위

 

인가로 구분한다. 동기가 흐르는 방위는 8방위 중 정동(正東)·

 

남동(南東)·정남(正南)·정북(正北)의 4개 방위이며, 서기가 흐르

 

는 방위는 정서(正西)·남서(南西)·북서(北西)·북동(北東)의 4개

 

방위이다. 패철의 24방위로 볼 때는 동사택의 방위는 정동이 갑

 

묘을(甲卯乙), 동남은 진손사(辰巽巳), 정남은 병오정(丙午丁),

 

정북은 임자계(壬子癸)이다. 서사택의 방위로는 정서가 경유신

(庚酉辛), 남서는 미곤신(未坤申), 북서는 술건해(戌乾亥), 북동

은 축간인(丑艮寅)이다.

 

동기는 상승하는 기운, 서기는 하강하는 기운을 각각 갖고 있어

그 성질이 정반대이다. 그래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야 좋다.

이것은 마치 인체 혈관에서 동맥과 정맥이 구분되는 것과 같다.

만일 사람에게 동맥과 정맥이 서로 혼합되어 흐른다면 생명에

지장이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동기와 서기가 한 주택 안에서 같이 흐를 경우에는

그 집안에 좋지 못한 일이 발생한다. 

 

주택 중심부에는 동기이든 서기이든 한 가지 기운만 모여 있는

것이 좋다. 만일 동기와 서기가 혼합되어 있다면 기운이 탁해져

흉가가 된다. 예를 들어 보자. 마당에서 봤을 때 주택이 북쪽으

로 위치하고 남쪽을 향하고 있다면, 건물 중심은 임자계(壬子

癸) 방위로 동사택이다. 이 경우에는 건물 중심 기운이 순수한

동사택 기운의 건물이 된다. 그러나 만일 건물 형태가 장방향이

어서 임자계와 축간인의 방위가 서로 비슷하게 이루어져 있다

면 동기와 서기가 혼합되어 흉가가 되는 것이다.

 

대문의 방위도 주택이 자리한 방위만큼 중요하다. 대문은 단순

히 사람이 출입하는 공간만이 아니라, 대기 중의 바람을 집 안

팎으로 들여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문으로 좋은 바람이

들어오면 그 집에 좋은 기운이 흐르게 되고, 나쁜 바람이 들어

오면 좋지 않은 기운이 흐르게 된다. 대문의 방위도 주택 방위

를 볼 때와 같이 마당 중심에서 대문이 있는 곳을 패철로 측정

하는데, 대문 위치가 동기에 있으면 동사택, 서기에 있으면 서

사택이다. 건물이 동사택인 경우에는 대문도 동사택인 것이 좋

고, 서사택인 주택에는 대문도 서사택인 것이 좋다. 그러나 건

물과 대문이 서로 다른 사택의 기운일 경우에는 좋지 못하다.

 

2. 주택 방위의 음양 조화

 

지표면에 흐르는 기운은 음과 양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음(陰)

은 남동(진손사)·정남(병오정)·남서(미곤신)·정서(경유신)로 여

성을 의미하고, 양(陽)은 북서(술건해)·정북(임자계)·북동(축간

인)·정동(갑묘을)으로 남성을 의미한다. 이 음양의 4개 방위는

제각각 기운의 젊음과 노쇠함으로 구분, 음인 남동은 장녀(長

女), 정남은 중녀(中女), 남서는 노모(老母), 정서는 소녀(少女)

의 방위로 구분되고, 양인 북서는 노부(老父), 정북은 중남(中

男), 북동은 소남(小男), 정동은 가장 왕성한 남자의 기운이 흐

르는 방위로서 장남(長男)으로 각각 구분된다.

 

주택 마당의 중심점에서 보아 건물의 방위가 남성 방위인 정북·

북동·정동에 있을 때는 주택 내부에 남성의 기운을 갖게 되고,

반대로 남서·정남·정서·남동이면 여성의 기운을 갖게 된다. 대

문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주택에 있어서 건물과 대문의 의미를 구분하면, 건물은 장기적

으로 머물러 있어서 마치 주인과 같고 대문은 외부로부터 들어

오는 손님과 같은 관계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음양 이론에서

음양은 서로 결합하기를 좋아한다. 마찬가지로 주택의 기운이

남성의 기운일 경우에는 대문으로 여성의 기운이 들어오면 행

운이 따르고, 그렇지 않고 같은 남성 기운이라면 서로 배척하여

좋지 못하다.

 

예컨대 건물 중심이 정북, 즉 임자계 방위에 있고 대문이 정남,

즉 병오정 방위에 있을 경우에는 건물이 중남으로 남성 기운이

며, 대문은 중녀로 여성 기운이다. 이 경우에는 남성과 여성이

서로 좋아하는 관계이므로 생기를 만들어 좋은 집이 된다. 그러

나 동일한 임자계에 건물에 있어서 대문의 방위가 북서, 즉 술

건해 방위에 있는 경우에 대문은 노부의 기운이며, 건물은 중남

의 남성 기운으로 건물과 대문이 서로 배척하는 관계가 된다. 

 

건물과 대문이 남성·여성의 기운을 갖고 서로 어울려 생기를 이

룰 때, 이것이 어울리는 과정에서 남성 아닌 여성의 늙고 젊음

은 전혀 구애받지 않는다. 가령 건물이 축간인인 소남 방위이고

대문이 미곤신의 노모 방위이면 소남과 노모가 서로 어울려서

생기를 이루는 좋은 공간이 되는 것이다. 또 건물과 대문이 중

남과 중녀(또는 중녀와 중남)일 경우에는 음양의 결합이 급히

발생하여 이른바 속발하게 된다. 그러나 북서의 노부 방위와 남

서의 노모 방위 사이에는 서로 행복한 공간을 이루며 음양의 결

합이 천천히 이루어지게 된다.

 

3. 방위의 오행(五行)과 수(數)

 

방위에 의한 동기와 서기는 오행으로도 구분된다. 즉 수(水)·화

(火)·목(木) 방위는 동기이며, 금(金)·토(土) 방위는 서기로 구분

된다. 오행에 있어서 수(水)는 물과 같이 수직 하강하는 기운을

말하고, 화(火)는 태양과 같이 폭발하며 확산하는 기운, 목(木)

은 나무와 같이 수직 상승하는 기운, 금(金)은 쇠의 단단함과 같

이 중심점으로 수축하는 기운, 토(土)는 흙과 같이 모든 기운을

포용하여 균형을 이루는 기운을 말한다. 

 

오행을 8방위로 구분할 때는 정북(正北)이 수(水), 북동(北東)·

남서(南西)는 토(土), 정동(正東)·남동(南東)은 목(木), 정남은 화

(火), 정서(正西)·북서(北西)는 금(金)이 된다. 이 오행은 각각 고

유한 성질을 갖고 있어 서로 잘 어울리는 성질 즉 상생(相生)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서로 잘 어울리지 않는 성질 즉 상극(相

剋), 그리고 서로 비슷한 성질 즉 상비(相比)의 관계가 있다. 

 

오행의 상생은 수생목(水生木), 목생화(木生火), 화생토(火生

土), 토생금(土生金), 금생수(金生水)를 말한다. ‘수생목’은 물에

의해 나무가 살게 된다는 의미이며, ‘목생화’는 나무에 의해 불

이 만들어진다는 의미, ‘화생토’는 불이 타고 난 후에 재 또는

흙이 만들어진다는 의미, ‘토생금’은 흙에서 금이 만들어진다는

의미, ‘금생수’는 금속과 같이 찬 곳에서 물이 만들어진다는 의

미를 갖고 있다.

 

상극은 수극화(水剋火), 화극금(火剋金), 금극목(金剋木), 목극

토(木剋土), 토극수(土剋水)이다. ‘화극금’은 불의 기운이 금속

의 기운을 억제한다는 의미이며, ‘금극목’은 금속의 기운이 나

무의 기운을 억제한다는 의미, ‘목극토’는 나무의 기운이 흙의

기운을 억제한다는 의미, ‘토극수’는 흙의 기운이 물의 기운을

억제, ‘수극화’는 물의 기운이 불의 기운을 억제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주택과 대문의 방위는 서로 상생 관계를 이루는 것이 좋다. 즉

주택이 정북에 있고 대문이 정동에 있으면 건물은 오행상 수

(水)의 기운을 받기 때문에, 대문은 오행상 목(木)의 기운을 받

고 있는 것이 좋다. 그러나 같은 주택이라도 대문이 남서쪽에

있게 되면 토(土)에 해당되므로 상극 관계를 이루어 좋지 못하

다.

 

4. 오행의 생수(生數)와 성수(成數)

 

오행은 각각의 수(數)를 갖고 있다. 이것은 《주역》의 하도(河

圖)를 기초로 한 것으로, 오행 이론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즉

암흑과 혼돈의 우주 공간에서 창조되는 각각의 기운의 순서를

말한 것으로, 첫째를 물의 기운, 둘째를 불의 기운, 셋째를 나무

의 기운, 넷째를 금속의 기운, 다섯째를 땅의 기운으로 본다. 따

라서 물(=1)·불(=2)·나무(=3)·금속(=4)·토(=5)마다 고유한 수를

갖게 되고, 이것을 생수(生數)라고 한다. 

 

각각의 생수에 5를 합한 수, 예를 들면, 물의 기운인 1과 흙의

기운인 5가 합해져 6의 수를 이루는 것을 성수(成數)라고 한다.

그래서 물에 의해 만들어진 생명체는 6의 수로 이루어짐을 뜻

한다. 물의 기본은 육각수이며 물 분자는 육각형을 이룬다. 성

수를 만들 때는 각각의 오행 수에 흙의 기운인 5를 더하게 되는

데, 이것은 흙의 기운이 포함되어야 비로소 하나의 물체가 형성

되기 때문이다.

 

오행의 수는 수량, 시간, 원인 등을 나타낸다. 

먼저 수량의 예를 들면, 동쪽 대문에 의해 부자가 되는 주택의

경우에 재산의 정도를 보면 동쪽은 목(木)인데, 이 목은 3과 8의

숫자를 갖고 있다. 따라서 재산의 정도는 3천 석이나 8천 석 등

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주택 방위만 좋을 경우에는 3천 석으로

계산하고 주변 지세까지 명당인 경우에는 8천 석으로 계산한

다.

 

시간적인 면에서 예를 들면, 동쪽 대문에 의해 재벌이 되는 경

우 동쪽은 목(木)이며, 목은 3과 8의 숫자를 갖고 있으므로 3년

8개월이 되는 시점에서 재벌이 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원인적인 면에서 본다면 오행은 자체적으로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사건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동쪽

대문으로 재벌이 되는 경우, 그 집 주인은 목재나 합판, 목조 가

구, 농사 등으로 인해 재벌이 된다. 이것은 동쪽에 목(木)의 기

운이 대문을 통하여 집안에 들어오기 때문이다. 

 

5. 내부 방위의 길흉

 

주택의 내부 공간, 즉 방·화장실·거실·부엌 등의 방위는 이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같은 규모의 주택에서도

방이 배치된 방향에 따라 집안의 발전 정도에 차이가 있고, 즐

거움과 슬픔이 달라진다. 이렇듯 같은 집에서도 그 영향이 제각

각 다른 것은 실내에 들어오는 기운과 내부 공간의 중심 기운이

서로 조화를 이루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

이다. 따라서 현관을 통해 집 안으로 들어오는 기운과 집 내부

의 기운이 서로 조화를 이루면 집안에 생기가 돌 것이고, 그렇

지 않으면 불행한 일을 겪게 된다.

 

실내 공간에서 기운이 가장 많이 모이는 곳을 기두(氣頭)라고

하는데, 이 기두는 가장 넓고 높으며, 또 가장 중심적인 공간이

되어야 한다. 또 안방·거실·부엌·현관·화장실 등 5개 공간을 주

택의 5주(柱)라고 하는데, 이 5주는 한 집안의 기운을 구성하는

중요한 공간으로서 마치 사람의 기운이 생년월일, 즉 사주(四

柱)에 의해 결정되는 것처럼 한 집안의 기운을 결정한다.

 

5주는 기운의 성질에 의해 4합(合) 1부(否)로 구분되는데, 4합은

불을 사용하는 공간, 즉 따뜻한 기운을 갖고 있는 안방·거실·부

엌·현관 등을 말하고, 1부는 물을 사용하는 화장실을 말한다. 

 

5주 중에서 4합의 공간과 1부의 공간은 서로 그 기운이 달라야

한다. 따라서 4합이 동기(東氣)를 갖고 있으면 1부는 서기(西氣)

를 갖고 있어야 하고, 반대로 4합이 서기를 갖고 있다면 1부는

동기를 갖고 있어야 한다. 집안의 기두와 4합이 동기나 서기 중

에서 하나의 기운이 되면 평화로운 공간을 이룬다. 그러나 1부

인 화장실의 기운이 기두와 같으면 좋지 않다.

 

주택의 방위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는 동사택·서사택의 기운, 음

양의 기운, 오행의 기운 등 세 가지 기운을 모두 종합하여 이루

어진다. 각각의 분석의 비중을 보면, 가장 이상적인 방위를 100

으로 했을 때 동사택·서사택의 기운을 60, 음양의 기운을 20, 오

행의 기운을 20으로 본다. 가장 이상적인 주택의 방위는 건물과

대문이 동사택이나 서사택 중 한 가지 기운으로 이루어져 있고,

건물과 대문은 음과 양으로 조화를 이루며, 건물과 대문의 방위

가 오행상 상생 관계인 것이다. 

 

이러한 이상 주택의 실례로는 남향 집과 동남향 대문의 배치를

들 수 있다. 이처럼 이상적인 방위 배치는 8개의 방위마다 하나

씩 있다.(<표 주택과 대문의 배치 방위에 따른 길흉 분석표> 참조)

 

주택 방위 중에서 반드시 피해야 할 방위가 이귀문(裏鬼門) 방

위이다. 이 방위는 말 그대로 귀신이 출입하는 흉한 방위로서,

동북과 남서를 연결하는 대각선 방위, 좀더 정확하게 구분하면

패철상에서 계축(癸丑)의 중심과 정미(丁未)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위를 말한다. 

 

방위상으로 계(癸)와 축(丑)은 동기와 서기의 한계선이다. 즉 임

자계(壬子癸)까지는 동기가 흐르는 동사택의 방위이며, 축간인

(丑艮寅)은 서기가 흐르는 서사택의 방위이다. 또 정미(丁未) 방

위도 정(丁) 방위는 병오정(丙午丁)의 동기가 흐르는 동사택의

마지막 방위이며, 미(未) 방위부터는 서기가 흐르는 서사택 방

위이다. 동기와 서기는 서로 화합하지 않는 기운이므로, 흉 방

위가 되는 것이다.

 

이귀문 방위는 서로 상극 관계를 이루고 있다. 계(癸)는 오행상

수(水)의 방위인 반면, 축(丑)은 오행상 흙(土)의 방위로 서로 상

극이다. 이처럼 두 상극이 혼합된 공간은 불행한 일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계축과 정미를 연결하는 이귀문 방위나, 이 방위에 인

접해 있는 축좌미향(丑座未向)·계좌정향(癸座丁向), 또는 미좌

축향(未座丑向)·정좌계향(丁座癸向)도 위험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이귀문 방위를 피하기 위해서는 주택이나 건물의 중심축

을 이귀문 방위에 두지 말아야 하며, 안방과 화장실을 이귀문의

직선상에 두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요즘의 수세식 화장실은 크

게 문제되지 않는다.

 

九星學은 주역의 원리를 정확히 알아야하고 그 내용이 너무 방

대하여 자세히 설명은 하기 힘들고 대략 개요만 설명한다.


 
 
 
 
 
9층 패철중 1층~9층까지 설명

 

패철의 용법 패철은 주역의 후천 팔괘를 응용해 처음에는 12지

지(十二地支)가 표시된 십이방위 뿐이었으나, 한(漢)나라 장량

(張良)이 사유팔간(四維八干:乾坤艮巽 甲庚丙壬 乙辛丁癸)을 더

하여 24방위로 세분화하였고, 이것을 당나라 양균송은 양기(陽

氣)를 측정하기 위해 8층을 지어 좀더 이해하기 쉽게 완성하였

다.

 

이것은 종래의 12방위가 음(陰)의 지지(地支)로만 이루어져

음인 내룡만을 측정하고, 양(陽)인 물과 향은 측정할 수 없었기

때문에 양을 재는 방위가 더 필요했던 것이다. 그 후 역대 선현

들이 삼십여 층의 많은 용법을 패철에 추가하여 현재에 이른다.

9층 패철의 용법을 본격적으로 설명하기 앞서 먼저 집고 넘어

가야 할 사항이 있다. 지구는 천구의 적도면과 황도면이 약 2

3.5도가 기울어져 있다.

 

 

즉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 대

하여 약 66.5도가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우주의 영향을 땅 속과

땅 위가 서로 다르게 받는다. 지도를 보면 지도의 정북에 비해

북극성은 1.04도로(도편각) 오른쪽으로 치우쳤고, 나침판의 정

북은 6도가(도자각) 정북에 비해 왼쪽으로 치우쳐 있다. 패철 4

층에 비하여 패철 8층의 각 간지(干支)가 우측으로 7.5도가 기

울어진 것은 바로 땅과 문의 이기를 정확히 재기 위함이다.

 

 

런 까닭에 땅에 붙어 있는 것 즉 내룡, 주택의 방향은 패철 4

으로 격정(格定)하고, 땅위를 흘러 다니는 물․ 바람․ 방향

패철 8층으로 격정한다.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에 꼭 기억해

할 원리이다. 먼저 패철을 놓고 자세히 들여다보자. 패철 중

앙에 바늘이 보일 것이다. 이를 가리켜 천지침(天地針)이라 하

며 붉은 표시가 있는 쪽은 오방(午方)이라 하여 남쪽을 가리키

고, 검은 표시가 난 곳(구멍난 곳)은 자방(子方)이라하여 북쪽을

가리킨다. 검은 부분이 자방에 오도록 패철을 돌려 맞춘다.

 

패철 제 1층은

황천수(黃泉水)를 측정하는 칸으로 일반적으로 용상팔살(龍上

八殺)이라 한다. 황천수는 무덤 속[광중(廣中)]으로 스며드는

물을 가리킨다. 이러한 방향으로 물이 들면 후손들이 암이나 당

뇨, 신장병 등에 걸리고, 재난을 당하여 하루아침에 망한다고

한다. 패철 4층을 기준으로 보아 내룡이 임자계(壬子癸) 방위에

 

서 왔을 때에 묘를 진향(辰向) 즉, 술좌진향(戌坐辰向)을 놓으면

용상팔살에 걸린다. 다른 방위도 마찬가지로 아래와 같다. 미곤

신 룡(未坤申龍)→ 묘향(卯向) 갑묘을 룡(甲卯乙龍)→ 신향(申

向) 진손사 룡(辰巽巳龍)→ 유향(酉向) 술건해 룡(戌乾亥龍)→

오향(午向) 경유신 룡(庚酉辛龍)→ 사향(巳向) 축간인 룡(丑艮寅

龍)→ 인향(寅向) 병오정 룡(丙午丁龍)→ 해향(亥向) 풍수의 목

 

적은 흉한 것은 피하고 길한 것은 찾는 것인데, 막상 묘를 찾아

가 보면 용상팔살에 걸린 묘를 실제로 자주 보게 된다. 일부의 풍수가는 용상팔살조차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용상팔

살에 걸린 묘를 보면 대개는 봉분 뿐만 아니라 무덤의 아래쪽까

지도 황토 그대로 드러나 매우 흉한 모습이다. 만약 조상의 묘

중에서 아무리 잔디를 심어도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벌건 황토

가 드러나면 용상팔살에 걸렸는가를 의심해야 한다.

 

패철 제 2층은

무덤으로 침입하는 바람인 팔요풍(八曜風)의 방위를 측정하는

칸이다. 산에는 깊은 산골짜기에서 일어나는 냉기가 바람이 되

어 불어오는데, 이 바람은 혈을 허약하게 만듦으로 꼭 막아야

한다. 패철 4층으로 보아 내룡이 임자 방이나 신술 방에서 왔을

 

때는 건해방에서 바람이 불어오니, 건해방 쪽을 막아서 바람이

불어오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패철 2층의 건(乾)자 옆에 비어

있는 칸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양의 조화를 이루는 위해

해(亥)자가 들어가야 하나 비워 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 내룡에 따라 팔요풍이 드는 방향을 보아 허약하면 방풍을 해

주어야 한다. 임자․신술 룡→ 건해 방 계축․갑묘 룡→ 간인

방 을진․병오 룡→ 손사 방 정미․경유 룡→ 곤신 방 건해 룡

→ 신술․임자 방 간인 룡→ 계축․갑묘 방 손사 룡→ 을진․병

오 방 곤신 룡→ 정미․경유 방 팔요풍이 들면 보통 자손이 끊

 

어지거나, 후대에 가서 가문이 쇠퇴한다고 한다. 질소가 78%나

함유된 바람이 광중으로 드나들면 유골이 급속히 산화되어 나

쁜 기를 발산하기 때문에 후손들 중에 중풍에 걸리거나 재산상

의 손해를 입어 점차 몰락해 가는 것이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팔요풍이 드는 방향이 내룡의 방향과 가까이 붙어 있어 판별하

기가 어렵다. 보통의 무덤에서는 묘를 감싸는 곡장(曲墻)이나

성(城)을 둘러 팔요풍을 방지한다.

 

패철 제 3층은

동양의 우주관이 집약된 삼합오행(三合五行)의 운용이 표시된

칸으로 이기론 풍수의 골격을 이룬다. 이는 오행국(五行局)을

판별하고, 내룡과 향의 길흉과 득수(得水:물을 얻는 것)와 거수

(去水:물이 빠져 나가는 것)의 합법 유무를 판단한다. 수(水)자

를 보면 자(子), 신(申), 진(辰)에 있는데, 이는 천간의 짝인 임

 

(壬), 곤(坤), 을(乙)도 함께 본다. 즉 이 경우는 오행국 중 수국

(水局)이며 내룡이 임자(壬子)방에서 오고, 물이 을진(乙辰)방으

로 빠지면 묘의 향은 곤신(坤申)방을 하라는 뜻이다. 또 내룡이

곤신방에서 오고 물이 을진방으로 빠지면 묘의 방향은 임자 방

으로 하라는 뜻이다. 화국(火局)과 목국(木局) 그리고 금국(金

局)도 마찬가지로 본다.(다음 장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패철 제 4층은

지반정침(地盤正針), 또는 내반정침(內盤正針)이라 하여 내룡의

용맥과 입수(혈을 만들기 위해 최종적으로 생기 에너지를 응결

시킨 곳)의 방위를 재고, 양택 풍수에서는 주택의 좌향까지도

정한다. 그러나 한가지 명심할 사실은 묘의 좌향이나 물의 방향

을 정하는 대는 절대로 쓰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과 좌향은 패

철 제 8층의 천반봉침으로 정해야 한다. 내룡의 이기를 잴 경

 

 

우, 내룡이 배합되었는가 아니면 불배합되었는가를 중요시 보

아야 한다. 내룡도 음과 양이 조화를 이루어야 길하니 쌍산오행

(雙山五行)이 잘 배합되었는지 살펴야 한다. 만약 쌍산의 중심

선 상으로 뻗지 못한 불배합룡은 잠룡(潛龍)이라 하여 흉한 것

으로 본다. 이를테면 임자 堧막 내룡이 뻗지 못하고, 바로 옆의

해(亥)자와 임(壬)자 사이로 뻗으면 불배합룡이다. 중요한 원리

이기 때문에 다시 설명하였다.

 

패철 제 5층은

천산 72룡(穿山七十二龍)을 나타낸 것으로 결인처(結姻處)의 길

흉을잰다. 내룡이 아래로 뻗어 내리다 다시 솟구치기 직전의 낮

은 부분을 결인이라풍수는 부르는데, 보통은 과협과 동일한 개

념이다. 즉 과협의 길흉을 재는 것으로사실상 현장 풍수에서는

쓰임이 적다. 9층으로 된 패철이 아니라, 5층으로 된패철을 사

 

 

용하는 풍수가는 혈의 만두[승금(乘金: 묘의 윗 중앙 부분)에

패철을 놓고내룡의 길흉을 재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혈을 이

룬 내룡의 길흉은 제 5층이 아니라 제 7층으로 감결해야 한다.

 

패철 5층은 내룡이 아니라 과협의 길흉을 재는 것이다. 과협의

길흉을 감결할 때는 천산 72룡 중에서 5개의 칸만 따진다. 즉

내룡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70~90센티미터의 간격

을 두고 생기의 흐름이 변하는데, 중심선은 쇠기맥으로 생기가

 

쇠한 곳이라 좋지가 않다. 임자룡의 경우 갑자(甲子)는 병기맥

이고, 병자(丙子)는 왕기맥이고, 무자(戊子)는 쇠기맥이고, 경자

(庚子)는 생기맥이고, 임자(壬子)는 사기맥이 된다. 이것은 원리

를 적어 놓은 것이니 외우기보다는 현장에서 분금에 맞추어 적

 

 

용하면 된다. 이 경우 생기맥과 왕기맥으로 과협이 들어와야 좋

다. 중간의 빈칸은 대공망(大空亡)이라 하여 이 칸으로 들어오

는 내룡과 맥은 쓰지 않는다. 중국의 패철에는 정(正)자로 표시

되어있다.

 

패철 제 6층은

인반중침(人盤中針)으로 송나라 때 뢰포의(賴布衣)가 창안했다.

그는 『최관편(催官扁)』을 저술하여 혈처를 중심으로 주변의

사봉(砂峰: 혈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의 모든 산)이 혈에 도움을

 

주는 것인지 혹은 해를 주는 것인지 밝혔다. 24방위 중에 사봉이 어디에 해당되는지 감지하여 길흉을 감결하며, 아파트나 철

도 등 인조 건조물도 풍수는 사봉으로 본다. (1) 임(壬)-[천보

(天輔)]--대통령의 비서실장(공직자) (2) 자(子)-[천첩(天疊)]--

 

대통령의 비서실장(공직자) (3) 계(癸)-[천도(天道)]--종교 지도

자(목사․종정) (4) 축(丑)-[천주(天廚)]--보건복지부 장관(의

사․요식업자) (5) 간(艮)-[천시(天市)]--상공부 장관(사업가)

(6) 인(寅)-[천음(天 )]--농수산부 장관(대지주․선박왕) (7) 갑

 

(甲)-[천원(天苑)]--농수산부 장관(대지주․선박왕) (8) 묘(卯)-

[천명(天命)]--보건복지부 장관(의사․요식업자) (9) 을(乙)-[천

관(天官)]--내무부 장관(공직자) (10)진(辰)-[천강(天 )]--법무

부 장관(판, 검사) (11)손(巽)-[태을(太乙)]--여자 비서관(여자

 

공직자) (12)사(巳)-[천병(天屛)〕--왕궁의 관리자(공직자) (13)

병(丙)-[태미(太微)]--과학기술처 장관(과학자) (14)오(午)-[태

마(天馬)]--건교부 장관(건설업․운수업) (15)정(丁)-[남극(南

極)]--보건복지부 장관(의사․요식업자) (16)미(未)-[천상(天

 

常)]--상공부 장관(사업가) (17)곤(坤)-[천월(天鉞)]--상공부 장

관(사업가) (18)신(申)-[태문(天門)]--왕궁의 관리자(공직자) (1

9)경(庚)-[태황(天潢)]--문체부 장관(문화, 예술인) (20)유(酉)-

[소미(少微)]--과학기술처 장관(과학자) (21)신(辛)-[천을(天乙)]--남자 비서관(공직자) (22)술(戌)-[천괴(天魁)]--검찰총장

 

 

(경찰청장) (23)건(乾)-[천의(天廐)]-교통부 장관(운수업) (24)해(亥)-[천황(天皇)]--대통령 즉 혈에서 보아 패철 6층으로 해방(亥方)에 산이 우뚝 솟아 있으면, 그 산은 후손 중에 대통령이 날 명당 터라 한다. 묘방(卯方)에 산이 있으면 의사가 태어날 터

라 하고, 경방(庚方)에 산이 우뚝하면 문화․예술 계통의 인물

이 태어난다고 본다.

 

패철 제 7층은

투지육십룡(透地六十龍)이라 하며, 내룡의 길흉을 정하는데 사

용되어 시신을 안장할 때는 매우 중요한 층이다. 임자룡의 경우

를 살펴보면, 갑자(甲子)는 병기맥, 병자(丙子)는 왕기맥, 무자

(戊子)는 쇠기맥, 경자(庚子)는 생기맥, 임자(壬子)는 사기맥에

해당됨을 뜻한다. 이 역시 내룡을 타고 흐르는 생기의 이기를

 

밝힌 것이니 현장에서 적용만 하면 된다. 현장에선 내룡의 중심

선은 쇠기맥이고, 중심선에서 70~90cm 떨어진 곳은 생기맥과

왕기맥이며, 다시 그곳으로부터 70~90cm 떨어진 곳은 사기맥

과 병기맥이다. 내당의 자연이 좌선수이면 생기맥에 혈을 잡고,

 

우선수라면 왕기맥에 혈을 잡는다. 중요한 것은 내룡의 중심선

인 쇠기맥에 혈을 잡으면 안된다는 점이다. 그런데도 옛 묘의

대다수는 내룡의 중심선인 쇠기맥에 혈이 잡혀져 있다.

 

패철 제 8층은

천반봉침(天盤縫針) 혹은 외반봉침(外盤縫針)으로 물의 득(得)

과 파(破) 그리고 묘의 좌향을 잡는데 사용한다. 이기론 풍수에

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층으로 파와 향이 천간이냐 혹은 지지이

 

 

냐가 매우 증요하다. 지지의 파나 향은 천간의 파와 향에 비하

여 발복이 반으로 반감된다고 풍수는 말한다. 앞장에서 충분히

설명이 되었으리라 믿으며,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분은 앞장을

다시 한번 꼼꼼히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패철 제 9층은

봉침분금(縫針分金)으로 생기를 받기 위해 최종적으로 시신의

방향을 정확히 트는데 사용한다. 현장에서는 좌선수의 경우에

는 좌분금을 놓고 우선수일 경우는 우분금을 놓는다. 예를 들어

임좌병향(壬坐丙向)의 경우 병향에는 병오(丙午)와 신사(辛巳)

분금이 있는데, 병오 분금의 경우는 시신을 우로 선회하여 분금

에 맞도록 튼다. 신사(辛巳)분금의 경우는 시신을 좌로 선회하

여 분금에 맞도록 튼다.

 

비밀번호 수정 및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댓글 수정

PASSWORD :

/ byte

PASSWORD : 확인 취소



  • 메뉴버튼
  • 위로버튼
  • 아래로버튼

고객센터

031-898-1813

010-4306-9054

평일 09:00 ~ 17:00

주말 토요일, 일요일 휴무

*공휴일 휴무

은행정보

농협은행 355-0086-6757-53

예 금 주 서복희(풍물쇼핑몰)

택배 아이콘

대한통운 배송조회

주문상품의 배송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전 제품다음 제품

TOP


풍수인테리어 소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