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인테리어소품 패철 풍수인테리어 풍수소품 기모아 쇼핑몰 031-898-1813

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게시판
  2. 패철 사용법

패철 사용법

패철 사용법에 대한 안내 게시판 입니다.

게시판 상세
음양오행이란?
  • Writer 대표 관리자
  • Date 2008-02-26 12:28:44
  • 추천 추천하기
  • Hit 2045

 

음양오행이란
1. 음양오행의 개요 (陰陽五行의 槪要)

동양철학에서는 우주의 본원(本源)을 에너지(Energy)인 기(氣)로 여긴다. 이 기가 작용하여 만물을 형성하는데, 그 과정은 음양과 오행의 법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즉 우주의 생성과 변화과정을 음양오행(陰陽五行)이 관장하고 있는 것이다. 동양철학에서는 인간을 포함한 우주의 모든 삼라만상을 음양으로 구분한다. 또 생성과 소멸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오행에 의해서 결정된다.
풍수지리학 역시 음양오행에 근본을 둔 학문이다. 본래 풍수지리설은 인간이 지상에서 생활하는데 안전하고 편리한 땅을 찾는데서 유래하였다. 생기(生氣) 있는 땅에서 개인이나 사회가 큰 발전이 있음을 경험한 뒤, 점차 좋은 땅을 구하고자 그 방법을 연구하게 되면서 생기론이 등장하였다. 이 과정에서 생기는 음양오행으로 성립 구분된다는 사실도 알았다.
이에 따라 『우주의 본질은 기(氣)다. 기는 어느 곳이든 없는 곳이 없는 무소부재(無所不在)한 존재다. 새로 생기지도 없어지지도 않는 불생불멸(不生不滅)이며, 시작도 끝도 없는 무시무종(無始無終)한 것으로, 불변형질(不變形質)이다』라고 정의하였다.
기가 작용하여 만물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모든 것이 음양과 오행의 법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인간의 생노병사(生老病死)와 길흉화복(吉凶禍福) 역시 음양오행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생각하였다. 여기서 모든 동양철학이 발전하였는데 풍수지리도 마찬가지다. 땅과 인간의 운명 역시 음양오행의 법칙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본 것이다.
만약 풍수지리를 미신이라고 비난하려면, 철저하게 음양오행을 부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풍수지리가 오랜 세월 수많은 비판을 받으면서도 없어지지 않고 지금까지 존재하는 것은 음양오행에 근거한 학문이기 때문이다. 현대과학은 동양철학의 근본인 음양오행을 부정하고 반박할 수 있는 이론이 없다. 따라서 음양오행에 바탕을 둔 풍수지리도 부정할 수 없다.
더구나 음양오행은 서구 학문인 물리학이나 화학에서도 응용하고 있다. 하나만 예를 들면, 원소의 구조와 형성을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2. 음양오행의 원리 (陰陽五行의 原理)

 (1) 음양 (陰陽)
기(氣)는 우주를 형성하고 있는 근원이다. 무극(○)과 태극의 상태에 있는 기가 만물을 형성하려면 먼저 반드시 양과 음으로 분리된다.
일설에 의하면, 음양의 표시는 문자가 없었을 당시 남녀 생식기의 모양을 보고 표시했다고 한다. 남자인 양은 으로 여자인 음은 으로 표시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효(爻)라고 부른다.
모든 만물은 음양으로 구분된다. 하늘이 있으면 땅이 있고, 낮이 있으면 밤이 있다. 여름이 있으면 겨울이 있고,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이 있다. 움직여 동하는 것이 있으면 움직이지 않고 정지된 것이 있다. 삶이 있으면 죽음이 있는 등 우주의 모든 현상은 음양으로 구분되지 않는 것이 없다.


 (2) 사상 (四象)
음양은 서로 대립적이면서도 상호 제휴를 하면서 만물을 형성해 간다. 양은 다시 양과 음으로 분리된다. 음 역시 양과 음으로 분리된다. 이를 사상(四象)이라고 한다. 사상은 곧 태양, 소음, 소양, 태음이다.
한의학(韓醫學)에서 사람의 체형을 태양인(太陽人), 소음인(少陰人), 소양인(少陽人), 태음인(太陰人)으로 분류하는 것도 바로 이와 같은 이치를 따른 것이다.


 (3) 팔괘 (八卦)
사상은 만물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다시 음양으로 분류된다. 태양은 건(乾)과 태(兌)로, 소음은 이(離)와 진(震)으로, 소양은 손(巽)과 감(坎)으로, 태음은 간(艮)과 곤(坤)이 된다.
효(爻)가 3개가 모여 이루어진 것을 괘(卦)라 한다. 사상이 다시 음양 분리하면, 각각 3개의 효로 이루어진 8개의 괘로 변한다. 이를 팔괘(八卦)라 한다.
팔괘는 자연과 인생의 구체적 형태를 나타낸다. 즉 건(?)은 하늘[天]과 아버지[父]를 뜻하고, 곤은 땅[地]과 어머니[母]를 뜻한다. 간은 산[山]과 막내아들[少男]을 뜻하고, 태는 연못[澤]과 막내딸[少女]을 뜻한다. 진은 천둥뇌성[雷]과 큰아들[長男]을 뜻하고, 손은 바람(風)과 큰딸[長女]를 뜻한다. 감은 물[水]과 가운데 아들[中男]을 뜻하고, 이는 불[火]과 가운데 딸[中女]을 뜻한다. 팔괘는 우주의 기본 구조로 상대성 원리로 되어 있다.


 (4) 64괘 (六十四卦)
그런데 천태만상의 우주 조화를 팔괘만으로는 모두 설명할 수가 없다. 이에, 다시 괘(卦)끼리 결합하여 64괘(六十四卦)를 만들었다. 따라서 만물의 생로병사(生老病死) 등 우주의 순환과 변화는 64괘에 의해서 설명된다.
64괘는 2개의 괘(卦)가 모여 이루어졌다. 하나의 괘를 소성괘(小成卦)라 한다. 소성괘 2개로 겹친 것은 대성괘(大成卦)다.
팔괘가 만물을 상징하기는 해도 그것만으로는 보다 복잡한 변화의 세계를 표현할 수 없다. 그래서 두 괘가 겹쳐진 것이다.
예를 들자면, 건은 하늘을 상징하고 손은 바람을 상징한다. 하늘만 있거나 바람만 있어서는 아무런 변화가 일어날 수 없다.
하늘에 바람이 불어야 변화가 일어난다. 또 바람이 하늘 위에 부느냐, 하늘 아래에 부느냐에 따라 그 변화 현상은 크게 다르다.
괘와 괘끼리 결합해야만 변화가 일어나고 결실이 나타난다.
때문에 팔괘를 두 개씩 겹쳐 64개의 대성괘를 만든 것이다. 이것이 역(易)의 뼈대인 64괘이며, 이에 대한 해설이 바로 『주역(周易)』 이다.
주역이란 모든 만물이 일정한 법칙을 가지고 순환하면서 변화하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사계절이나 낮과 밤 등은 항상 변화하지만 거기에는 일정한 질서와 법칙이 있다.
이와 같이 음양의 모든 변화과정은 오직 목, 화, 토, 금, 수 오행의 상생상극(相生相剋)의 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음양의 변화과정]
태극 태극
음양 양 (陽) 음 (陰)
사상 태양 (太陽) 소음 (小陰) 소양 (小陽) 태음 (太陰)
팔괘 건(乾) 태(兌) 이(離) 진(震) 손(巽) 감(坎) 간(艮) 곤(坤)
천(天) 택(澤) 화(火) 뇌(雷) 풍(風) 수(水) 산(山) 지(地)


[64괘]
   上卦
下卦        
건(乾) 태(兌) 이(離) 진(震) 손(巽) 감(坎) 간(艮) 곤(坤)
건(乾) 건위천
乾爲天
택천쾌
澤天?
화천대유
火天大有
뇌천대장
雷天大壯
풍천소축
風天小畜
수천유
水天需
산천대축
山川大畜
지천태
地天泰
태(兌) 천택이
天澤履
태위택
兌爲澤
화택규
火澤?
뇌택귀매
雷澤歸妹
풍택중부
風澤中孚
수택절
水澤節
산택손
山澤損
지택임
地澤臨
이(離) 천화동인
天火同人
택화혁
澤火革
이위화
離爲火
뇌화풍
雷火豊
풍화가인
風火家人
수화기제
水火旣濟
산화분
山火賁
지화명이
地火明夷
진(震) 천뇌무망
天雷无妄
택뇌수
澤雷隨
화뇌서합
火雷??
진위뢰
震爲雷
풍뇌익
風雷益
수뇌준
水雷屯
산뇌이
山雷?
지뇌복
地雷復
손(巽) 천풍구
天風?
택풍대과
澤風大過
화풍정
火風鼎
뇌풍항
雷風恒
손위풍
巽爲風
수풍정
水風井
산풍고
山風蠱
지풍승
地風升
감(坎) 천수송
天水訟
택수곤
澤水困
화수미제
火水未濟
뇌수해
雷水解
풍수환
風水渙
감위수
坎爲水
산수몽
山水蒙
지수사
地水師
간(艮) 천산돈
天山豚
택산함
澤山咸
화산여
火山旅
뇌산소과
雷山小過
풍산점
風山漸
수산건
水山蹇
간위산
艮爲山
지산겸
地山謙
곤(坤) 천지부
天地否
택지췌
澤地萃
화지진
火地晋
뇌지예
雷地豫
풍지관
風地觀
수지비
水地比
산지박
山地剝
곤위지
坤爲地
상괘(上卦), 외괘(外卦), 소성괘(小成卦)
하괘(下卦), 내괘(內卦), 소성괘(小成卦) [대성괘(大成卦)]



 (4) 64괘 (六十四卦)
주역의 뼈대는 64괘다. 이것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겪을 수 있는 큰 가지 수라 말할 수 있다. 우주만물이 쉴새없이 변화하는 세상에서 그 원리를 알면 어떠한 상황에도 슬기롭게 대처할 수 있다. 64괘의 변화를 정확하게 계산해 낼 수만 있다면, 자연의 질서 또한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어떠한 중심을 축으로 하여 일정한 질서와 주기를 가지고 변화하기 때문이다.
자연의 질서를 안다면, 존재하는 세상의 모든 것들의 변화원리를 통해 인간 자신에게 다가오는 운명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 이것이 주역이며 일명 점(占)이라고도 한다.
주역을 실생활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효(爻)를 뽑아 괘(卦)를 만들어내야 한다. 그 효를 뽑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먼저 서죽(筮竹) 50개를 가지고 뽑는 방법과 숫자나 동전을 가지고 간단하게 뽑는 방법이 있다. 점서(占筮)하려면 먼저 정신 통일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점의 신통력은 어떤 방법을 사용했느냐보다는 얼마만큼 정성을 들여 괘를 만들었느냐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64괘 일람표]
   上卦
下卦        
건(乾) 태(兌) 이(離) 진(震) 손(巽) 감(坎) 간(艮) 곤(坤)
건(乾) 1
건위천
43
택천쾌
14
화천대유
34
뇌천대장
9
풍천소축
5
수천수
26
산천대축
11
지천태
태(兌) 10
천택이
58
태위택
38
화택규
54
뇌택귀매
61
풍택중부
60
수택절
41
산택손
19
지택임
이(離) 13
천화동인
49
택화혁
30
이위화
55
뇌화풍
37
풍화가인
63
수화기제
22
산화분
36
지화명이
진(震) 25
천뇌무망
17
택뇌수
21
화뇌서합
51
진위뢰
42
풍뢰익
3
수뇌준
27
산뇌이
24
지뇌복
손(巽) 44
천풍구
28
택풍대과
50
화풍정
32
뇌풍항
57
손위풍
48
수풍정
18
산풍고
46
지풍승
감(坎) 6
천수송
47
택수곤
64
화수미제
40
뇌수해
59
풍수환
29
감위수
4
산수몽
7
지수사
간(艮) 33
천산돈
31
택산함
56
화산여
62
뇌산소과
53
풍산점
39
수산건
52
간위산
15
지산겸
곤(坤) 12
천지부
45
택지췌
35
화지진
16
뇌지예
20
풍지관
8
수지비
23
산지박
2
곤위지
(안의 숫자는 『주역』의 「서괘전」에 나와 있는 64괘의 배열 순서임)
<보기> 위:상괘, 아래:하괘

1) 건위천 (乾爲天)
2개의 소성괘들이 모두 하늘을 상징하는 건괘이다. 따라서 여섯 개의 효(爻)가 모두 양(陽)으로, 64괘 중 가장 강하고 튼튼한 괘다. 만물의 근본인 하늘과 아버지를 상징한다. 속성은 ‘위대하다’. ‘크게 통한다’. ‘곧고 바르면 이롭다’라는 뜻이다.

2) 곤위지 (坤爲地)
모두 땅을 상징하는 곤괘로 구성되어 있다. 여섯 개의 효(爻)가 모두 음(陰)으로 만물을 포용하고 양육하는 땅과 어머니를 상징한다. 속성은 ‘순응하다’. ‘지극하다’라는 뜻이다.

3) 수뇌준 (水雷屯)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우레[雷]다. 준(屯)은 ‘진치다’. ‘막히다’. ‘고민하다’라는 뜻이다. 비가 내리고 천둥이 진동하는 상이니, 새싹이 눈 속에서 봄을 기다리는 것과 같다.

4) 산수몽 (山水蒙)
위의 괘는 산[山]이고, 아래 괘는 물[水]이다. 몽(蒙)은 ‘어리다’. ‘어리석다’라는 뜻이다. 시작의 상(象)이며 교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래서 교육과 연관된 몽(蒙)자를 괘의 이름으로 하였고, 계몽(啓蒙)이라는 말이 또한 여기서 나왔다.

5) 수천수 (水天需)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수(需)는 ‘기다리다’. ‘기대하다’라는 뜻이다. 운무가 자욱한 상으로 물러서서 기다려야 할 때를 의미한다.

6) 천수송 (天水訟)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물[水]이다. 송(訟)은 ‘다툼’. ‘소송’. ‘재판’ 등을 뜻한다. 하늘 아래에 물이 넘치는 상이니 욕심이 지나쳐 마찰과 갈등이 생기고 대립 항쟁하는 형상으로, 괘 이름을 송(訟)으로 하였다.

7) 지수사(地水師)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물[水]이다. 사(師)는 ‘선생’. ‘군대’. ‘거느리다’라는 뜻이다. 땅 밑으로 물이 모이는 상이니 여러 사람이 모인 집단을 상징하므로, 통솔한다는 의미에서 사(師)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8) 수지비 (水地比)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땅[地]이다. 비(比)는 ‘견주다’. ‘비교하다’. ‘인화(人和)’를 뜻한다. 물은 낮은 곳으로 모여 내를 이루고 힘을 합친다. 뜻을 같이하는 사람끼리 집단을 이루어 서로 돕고 협력하므로, 비(比)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9) 풍천소축 (風天小畜)
위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축(畜)은 ‘기르다’. ‘저축하다’라는 뜻이다. 하늘 위에서 바람이 부는 모습이니, 비가 내리기 전의 상황을 상징한다. 비가 오면 생명체는 그 비를 저장한다. 까닭에 저축한다는 의미로 축(畜)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10) 천택이 (天澤履)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못[澤]이다. 이(履)는 ‘밟는다’. ‘따른다’. ‘예절’이라는 뜻이다. 하늘 아래 저수지가 있으니, 지나침과 부족함이 없이 풍요로워 예절을 나타낸다. 의식(衣食)이 풍족해야 예절을 안다는 말에서 이(履)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11) 지천태 (地天泰)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태(泰)는 ‘크다’. ‘크게 통한다’. ‘태평하다’라는 뜻이다. 땅의 기운은 하늘로 올라가고 하늘의 기운은 땅으로 내려와 서로 조화를 이룬다. 서로 크게 통한다는 의미로 태(泰)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12) 천지비 (天地否)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땅[地]이다. 비(否)는 ‘막히다’. ‘답답하다’라는 뜻이다. 하늘은 하늘대로 위에 있고, 땅은 땅대로 아래에 있다. 천지 화합이 일어나지 않아 막혀 있는 상태다. 답답하다는 뜻으로 비(否)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13) 천화동인 (天火同人)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동인(同人)은 ‘뜻을 같이 한다’. ‘협력’이라는 뜻이다. 어두운 하늘 아래 불이 타오르며 세상을 밝히는 상이다. 즉 어두운 밤길에 등불을 얻은 상이다. 세상을 밝히는 일은 여러 사람이 힘을 합쳐야 하므로 동인(同人)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14) 화천대유 (火天大有)
위는 불[火]이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대유(大有)는 ‘크게 만족하여 즐거워하는 상태’를 말한다. 하늘의 불인 태양이 온 천하를 비추는 상이다. 즉 해가 중천에 떠 빛나는 상이니, 천하를 소유한다는 의미의 대유(大有)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15) 지산겸 (地山謙)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산[山]이다. 겸(謙)은 ‘겸손’. ‘겸양’으로 자기보다 부족한 사람을 이끌어주고 도와준다는 뜻이다. 높은 산이 땅 밑에 파묻힌 모습이다. 벼가 익어 고개를 숙이는 상이므로 겸손하다는 의미에서 겸(謙)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16) 뇌지예 (雷地豫)
위는 우뢰 천둥[雷]이고, 아래는 땅[地]이다. 예(豫)는 ‘예측한다’라는 뜻이다. 땅 위에서 천둥 번개가치면 비가 내리는 것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예(豫)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17) 택뇌수 (澤雷隨)
위는 연못[澤]이고, 아래는 우레 천둥[雷]이다. 수(隨)는 ‘따르다’. ‘순종한다’라는 뜻이다. 수동적이며 종속적인 의미다. 하늘에서 진동해야 할 우레가 연못 아래 있으니, 꼼짝 못하고 연못의 뜻에 따를 수밖에 없어 수(隨)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18) 산풍고 (山風蠱)
위는 산[山]이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고(蠱)는 ‘벌레’. ‘벌레가 나뭇잎을 갉아먹는다’는 뜻이다. 어려운 일을 뜻한다. 산밑에 바람이 머물고 있으니, 공기가 혼탁하여 부패하기 쉽다. 더러운 벌레가 생기므로, 고(蠱)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19) 지택임 (地澤臨)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못[澤]이다. 임(臨)은 ‘순서를 밟다’. ‘군림하다’라는 뜻이다. 땅속에 물이 가득하니 곧 새로운 시작에 임한다는 뜻에서 임(臨)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여러 사람 위에 있는 지도자 상이다.

20) 풍지관 (風地觀)
위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땅[地]이다. 관(觀)은 ‘살핀다’라는 뜻이다. 땅위에 바람이 불어 새로운 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변화를 잘 관찰해야 한다는 뜻에서 관(觀)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21) 화뇌서합 (火雷)
위는 불[火]이고, 아래는 천둥 우레[雷]다. 서합에서 서는 ‘씹다’라는 뜻이고, 합은 ‘입을 다물다’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서합은 ‘음식을 입안에 넣고 씹는다’는 의미다. 불과 우레가 만나면 천지를 진동하니, 격렬한 언쟁과 싸움에 휘말릴 수 있다.

22) 산화비 (山火賁)
위는 산[山]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비(賁)는 ‘꾸미다’. ‘장식하다’라는 뜻이다. 산아래 불이 있음은 해가 서산에 기울어 찬란한 황혼 노을을 나타낸다. 아름답게 꾸민다는 뜻의 비(賁)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겉치레만 하느라고 실속이 없다.

23) 산지박 (山地剝)
위는 산[山]이고, 아래는 땅[地]이다. 박(剝)은 ‘벗기다’. ‘빼앗다’라는 뜻이다. 산이 땅위에 우뚝 솟아 있으니, 비바람에 깎여 벗겨지고 상처를 입는다는 뜻에서 박(剝)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매사에 조심해야 한다.

24) 지뢰복 (地雷復)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우레 천둥[雷]이다. 복(復)은 ‘돌아오다’. ‘회복하다’라는 뜻이다. 땅 밑에서 천둥 우레가 울린다는 것은 땅위에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것과 같으므로, 복(復)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곧 성공할 운을 맞고 있다.

25) 천뇌무망 (天雷无妄)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천둥 우레[雷]다. 무(无)는 ‘없다’라는 뜻이고, 망(妄)은 ‘허망하다’는 뜻이다. 하늘에 천둥이 울리니 머지 않아 비가 오겠지만 당장은 아니다. 초조하지 말고 침착하게 때를 기다려야 한다.

26) 산천대축 (山川大畜)
위는 산[山]이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대축(大畜)은 ‘크게 쌓다’. ‘많이 모이다’라는 뜻이다. 하늘 위로 산이 높이 솟아 오른 모습이다. 크게 축적된 상이므로, 대축(大畜)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새로운 변화가 하늘을 찌르고 있다.

27) 산뇌이 (山雷?)
위는 산[山]이고, 아래는 천둥 우레[雷]다. 이는 ‘턱’. ‘기르다’. ‘봉양하다’의 뜻이다. 산아래 천둥 우레가 진동하는 상이다. 무언가 산 위로 올라가는 모습이므로, 생명을 기른다는 의미의 이(?)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28) 택풍대과 (澤風大過)
위는 못[澤]이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대과(大過)란 정상적인 것에서 크게 벗어나 ‘지나치다’라는 뜻이다. 잔잔한 못에 바람이 불어 물결이 크게 일어난다. 작은 배가 큰 풍랑을 만났으니, 지나치다라는 뜻에서 대과(大過)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29) 감위수 (坎爲水)
위도 물[水]이고, 아래도 물[水]이다. 물이 겹쳐 있으니, 수(水)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두 소성괘 모두 두 음효 중간에 양효가 빠져있다. 모든 일은 지나치면 위험에 빠지게 된다. 실패, 좌절, 파산, 병고 등의 어려운 일을 뜻한다.

30) 이위화 (離爲火)
위도 불[火]이고, 아래도 ??[火]이다. 불 두 개가 겹쳐있으니 화(火)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불 두 개는 태양을 상징하며, 정열과 왕성한 의욕을 뜻한다.

31) 택산함 (澤山咸)
위는 못[澤]이고, 아래는 산[山]이다. 함(咸)은 감(感)과 같은 뜻으로 ‘느낌이 좋다’는 의미다. 젊은 여자를 상징하는 태(兌)괘 아래 젊은 남자를 상징하는 간(艮)괘가 있다. 남녀간의 순수한 사랑을 상징하는 감상적인 의미의 함(咸)이다.

32) 뇌풍항 (雷風恒)
위는 천둥 우레[雷]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항(恒)은 ‘변함이 없다’. ‘한결 같이 계속 된다’라는 뜻이다. 장남이 장녀 위에 있다. 남편이 위에 있고 아내는 아래에 있는 상이다. 그 법도가 한결 같다는 뜻에서 항(恒)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33) 천산둔 (天山遯)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산[山]이다. 둔(遯)은 ‘피하다’. ‘물러나다’. ‘은둔하다’라는 뜻이다. 산이 아무리 높다하더라도 하늘 아래 있다. 이제 물러나라는 뜻에서 둔(遯)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34) 뇌천대장 (雷天大壯)
위는 천둥 우레[雷]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대장(大壯)은 ‘힘차다’. ‘성대하다’. ‘씩씩하다’라는 뜻이다. 하늘 위에서 우레가 움직이고 있으므로 힘차고 씩씩하다는 뜻에서 대장(大壯)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35) 화지진 (火地晉)
위는 불[火]이고, 아래는 땅[地]이다. 진(晋)은 ‘나아가다’. ‘전진하다’라는 뜻이다. 불인 태양이 지상 위로 떠오르면서 점점 밝아진다. 나아간다는 의미에서 진(晋)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36) 지화명이 (地火明夷)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이(夷)는 ‘상하고 깨지는 것’이므로 명이(明夷)는 ‘밝은 것이 상하고 깨진다’는 뜻이다. 태양이 땅 아래 잠겨가고 있다. 어두움이 온다는 뜻에서 명이(明夷)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해가 서산에 지는 상이다.

37) 풍화가인 (風火家人)
위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가인(家人)은 ‘집을 지키는 사람’을 뜻한다. 위는 장녀(長女)고, 아래는 중녀(中女)다. 동생이 언니 아래 있어 그 뜻을 따르니 일가(一家)가 편안히 다스려진다는 의미에서 가인(家人)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38) 화택규 (火澤?)
위는 불[火]이고, 아래는 못[澤]이다. 규는 ‘서로 등지다’. ‘노려보다’. ‘사팔눈’이라는 뜻이다. 불은 타오르면서 위로 올라가고, 연못의 물은 낮은 쪽으로 흘러간다. 서로 등져 떨어지므로 규(?)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39) 수산건 (水山蹇)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산[山]이다. 건(蹇)은 ‘절뚝발이’. ‘나아가기 힘들다’. ‘멈추다’라는 뜻이다. 산 위에 물이 있으니, 산을 넘으면 다시 물이 앞길을 막고 있다. 나아가기가 불편하니, 절름발이라는 뜻을 가진 건(蹇)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40) 뇌수해 (雷水解)
위는 천둥 우레[雷]이고, 아래는 물[水]이다. 해(解)는 ‘해결되다’. ‘해소된다’. ‘풀린다’라는 뜻이다. 천둥이 진동하여 비를 내리니 얼어붙었던 대지가 풀린다. 봄을 의미하므로, 해(解)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41) 산택손 (山澤損)
위는 산[山]이고, 아래는 못[澤]이다. 손(損)은 ‘덜다’. ‘줄이다’. ‘손해보다’라는 뜻이다. 산 아래에 있는 저수지의 물은 들판을 적시기 위해 흘러가야 하므로, 잃는다는 의미에서 손(損)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42) 풍뇌익 (風雷益)
위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천둥 우레[雷]다. 익(益)은 ‘더하다’. ‘증가하다’. ‘이익이다’라는 뜻이다. 바람이 불고 천둥이 치니 비가 온다. 비는 골고루 만물을 적셔 유익함을 주기 때문에 익(益)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43) 택천쾌 (澤天)
위는 못[澤]이고, 아래는 하늘[天]이다. 쾌는 ‘물리친다’. ‘결단한다’는 뜻이다. 아래 다섯 양효가 위에 있는 하나의 음효를 밀어내고 있는 상이니, 쾌(?)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결단을 내릴 때다.

44) 천풍구 (天風)
위는 하늘[天]이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구는 ‘우연히 만나다’. ‘추하다’라는 뜻이다. 하늘 아래에서 바람이 부니 흩어졌던 구름이 모인다. 만난다는 뜻의 구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하나의 음이 다섯 개의 양을 떠받치고 있으니 추하다.

45) 택지췌 (澤地萃)
위는 못[澤]이고, 아래는 [地]이다. 췌(萃)는 ‘모인다’라는 뜻이다. 땅위에 연못이 있으면 물이 모인다. 모인다는 뜻의 췌(萃)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46) 지풍승 (地風升)
위는 땅[地]이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승(升)은 ‘위로 상승하다’. ‘올라가다’. ‘번성하다’라는 뜻이다. 땅 밑에 있는 바람이 위로 상승하고 있으니 상승한다는 뜻의 승(升)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47) 택수곤 (澤水困)
위는 못[澤]이고, 아래는 물[水]이다. 곤(困)은 ‘부족하다’. ‘곤궁하다’. ‘괴롭다’. ‘통하지 않는다’라는 뜻이다. 연못 아래에 있는 물이 빠지는 모습이다. 물이 부족하면 만물은 곤궁에 처하게 되므로, 곤(困)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48) 수풍정 (水風井)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정(井)은 ‘우물’. ‘두레박’을 뜻한다. 바람이 물밑에 있다. 바람이 깊은 곳까지 통하는 모습이니, 우물을 뜻하는 정(井)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우물물을 퍼 올리려면 두레박이 필요하고 노고가 필요하다.

49) 택화혁 (澤火革)
위는 못[澤]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혁(革)은 ‘바꾸다’. ‘혁신하다’. ‘혁명’의 뜻이다. 연못아래 불이 있다. 물이 끊어 증발하면 큰 변화를 하므로 혁(革)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혁은 짐승 가죽이다. 가죽의 털을 벗기면 전혀 다른 것으로 변하기 때문에 ‘혁명’이라는 의미가 있다.

50) 화풍정 (火風鼎)
위는 불[火]이고, 아래는 바람[風]이다. 정(鼎)은 ‘발이 셋인 솥’. ‘안정감’을 뜻한다. 불 밑에 바람이 불고 있는 상이니 음식을 만들기 위해 아궁이에 불을 지피는 모습이다. 음식을 만드는 솥을 뜻하는 정(鼎)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51) 진위뇌 (震爲雷)
위도 천둥 우레[雷]고, 아래도 천둥 우레[雷]다. 뇌(雷)는 ‘천둥 우레’. ‘몹시 두려워하다’. ‘사나운 모양’. ‘위엄을 떨치다’를 뜻한다. 우레가 크게 진동하니 많은 사람들이 놀라 두려워한다.

52) 간위산 (艮爲山)
위도 산[山]이고, 아래도 산[山]이다. 산이 첩첩이 있으니 산(山)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간괘는 하나의 양이 두 음 위에 머무르고 있는 상이다. 산은 움직이지 않고 그곳에 있으므로 ‘머무르다’라는 뜻이다.

53) 풍산점 (風山漸)
위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산[山]이다. 점(漸)은 ‘점점’. ‘점차로 나아지는 것’을 뜻한다. 산 위에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면 점차로 만물이 깨어난다. 점차로 나아간다는 뜻의 점(漸)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54) 뇌택귀매 (雷澤歸妹)
위는 천둥 우레[雷]고, 아래는 못[澤]이다. 귀매(歸妹)는 ‘정상적이지 못한 결혼’이라는 뜻이다. 위는 나이든 남자를 상징하는 진괘고, 아래는 어린 여자를 상징하는 태괘다. 젊은 여자가 음란한 소질이 있어 중년 남자와 만나니 정상적이지 못하다는 뜻에서 귀매(歸妹)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55) 뇌화풍 (雷火豊)
위는 천둥 우레[雷]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풍(豊)은 ‘풍성하다’라는 뜻이다. 천둥 우레가 치고 비가 내린 후 햇볕이 밝게 빛나는 모습이다. 만물이 성장하여 풍성한 결실을 맺는다는 뜻에서 풍(豊)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56) 화산여 (火山旅)

위는 불[火]이고, 아래는 산[山]이다. 여(旅)는 ‘여행’. ‘집과 고향을 떠나 낯선 곳으로 가는 것’. ‘방황하는 나그네’를 뜻한다. 태양이 산에서 떠서 산으로 지는 것은 나그네의 여정과 같으므로 여(旅)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57) 손위풍 (巽爲風)
위도 바람[風]이고, 아래도 바람[風]이다. 바람은 지상의 공간에 없는 곳이 없다. 그러나 실체를 눈으로 볼 수는 없다. 손괘는 하나의 음이 두 양 아래에 있어 순종하고 따르는 형상이다. 유순하고 겸양하며 부드러운 의미가 있다.

58) 태위택 (兌爲澤)
위도 못[澤]이고, 아래도 못[澤]이다. 태(兌)는 ‘즐거움’. ‘온화한 분위기’를 뜻한다. 연못에 있는 물은 낮은 곳으로 흐르며 대지에 있는 모든 만물에게 골고루 물을 나누어준다. 베푸는 곳에서 기쁨을 느낄 수 있다.

59) 풍수환 (風水渙)
위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물[水]이다. 환(渙)은 ‘흩어지다’. ‘풀어지다’라는 뜻이다. 물위에서 바람이 분다. 물이 바람에 날려 사방으로 흩어지므로, 환(渙)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겨우내 얼었던 물이 봄바람에 녹아 풀어진다.

60) 수택절 (水澤節)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못[澤]이다. 절(節)은 ‘절도’. ‘규칙이나 제한’. ‘절약’을 뜻한다. 연못 위에 물이 가득하니 물이 많으면 넘치게 하고 모자라면 흐르지 못하게 한다. 절도를 뜻하는 절(節)을 괘 이름으로 하였다.

61) 풍택중부 (風澤中孚)
위는 바람[風]이고, 아래는 연못[澤]이다. 중부(中孚)는 ‘어미 새가 알을 품어 따뜻하게 한다’는 뜻이다. 가운데 두 음효는 노른자이고 바깥 양효는 흰자와 껍데기를 나타내니 알의 모양을 뜻한다. 상괘와 하괘가 입을 맞춘 듯 대칭을 이룬다. 한 몸으로 결합되어 마치 어미 새가 알을 품고 있는 상이므로, 중부(中孚)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62) 뇌산소과 (雷山小過)
위는 천둥 우레[雷]이고, 아래는 산[山]이다. 소과(小過)는 ‘조금 지나치다’라는 뜻이다. 상괘와 하괘가 등을 지고 있다. 음이 양에 비해 약간 많다는 의미에서 조금 지나치다라는 뜻의 소과(小過)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63) 수화기제 (水火旣濟)
위는 물[水]이고, 아래는 불[火]이다. 기제(旣濟)란 ‘일을 이미 성취했다’. ‘이미 물을 건넜다’. ‘어려움에서 이미 벗어났다’라는 뜻이다. 물은 위에 있고 불은 아래에 있으니 서로가 목적한 곳으로 건넜다는 의미에서 기제(旣濟)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64) 화수미제 (火水未濟)
위는 불[火]이고, 아래는 물[水]이다. 미제(未濟)란 ‘아직 건너지 않았다’. ‘미완성’을 뜻한다. 불과 물이 각기 제자리에 있기 때문에 미제(未濟)를 괘 이름으로 하였다.

4. 오행의 종류 (五行의 種類)

오행(五行)이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다섯 가지로 우주의 삼라만상을 형성하는 5가지 활동적 원소(元素)를 말한다. 처음에는 오행을 자연과 인생에 없어서는 안될 단순한 나무, 불, 흙, 쇠, 물의 물질적 관념으로만 생각하였다.
그런데 나무에 의해서 불이 되고, 불은 모든 것을 태우고 나면 재가 되어서 다시 흙이 되고, 흙으로부터 쇠가 형성되어 나오고, 쇠는 또 물을 생성하며, 물은 나무를 살아가게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때부터 오행을 기(氣)의 작용력으로 고찰하게 되었다. 이렇게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만물은 오행의 변화에 의해서 생성과 소멸을 한다. 오랜 세월 사람의 경험에 의해서 오행의 속성은 여러 가지로 설명되었다.
나뭇잎이 푸르기 때문에 나무[木]를 청(靑)이라 하고, 화염이 붉기 때문에 불[火]을 적(赤)이라 하였다. 금속의 광택이 백색을 반사하기 때문에 쇠[金]를 백(白)이라 하고, 물이 깊어 심연한 것이 암흑이기 때문에 물[水]을 흑(黑)이라 하였다. 흙은 대개 황색이므로 토[土]를 황(黃)이라고 했다.
또 나무를 봄으로 한 것은 봄이 되면 새싹이 돋아나기 때문이다. 불을 여름으로 한 것은 여름에 뜨거움이 심하기 때문이다. 금을 가을로 한 것은 찬 가을 누른 잎이 마치 금속의 색깔과 촉각이 같기 때문이고, 물이 겨울인 것은 물의 한랭함이 겨울의 추위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모든 만물은 오행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종류는 수 없이 많다.


 (1)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천간(天干)은 하늘의 변화하는 이치가 담겨져 있으며 양(陽)의 기운이다. 지지(地支)는 땅의 변화이치를 나타낸 것으로 음(陰)의 기운이다. 이를 사람에 비유한다면 천간은 남성이고 지지는 여성이다. 음양이 짝을 이루어 삼라만상의 무궁한 조화를 이루어낸다.
10천간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로 날[日]을 가리키기 위해서, 12지지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로 달[月]을 가리키기 위해서 은나라 때 만들어졌다고 한다. 천간과 지지 각각에는 오행이 있고, 그 오행 중에서 또 음양을 가지고 있다.


 (2) 60갑자(甲子)
양인 10천간과 음인 12지지가 차례로 짝을 맺어 합해지는 것을 갑자(甲子)라고 하며, 모두 60개로 이루어져 60갑자라고 한다. 이때 천간자와 지지자의 음양은 서로 같다. 예를 들어 갑자(甲子)에서 천간자 갑(甲)도 양이고, 지지자 자(子)도 양이다. 을축(乙丑)에서 천간자 을(乙)도 음이고, 지지자 축(丑)도 음이다. 을인(乙寅), 신자(辛子) 등과 같이 간지의 음양이 서로 다른 60갑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오행의 종류 (五行의 種類)]
번호 오행의 종류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비고
1 정오행
正五行
천간(天干)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지지(地支) 인寅 묘卯 오午 사巳 진,술
辰,戌
축,미
丑未
신申 유酉 자子 해亥
2 팔괘(八卦)오행 진震 손巽   이離 간艮 곤坤 건乾 태兌 감坎    
3 삼합(三合)오행 해묘미
亥卯未
인오술
寅午戌
  사유축
巳酉丑
신자진
申子辰
12포태 중
生旺墓
4 쌍산(雙山)
삼합(三合)오행
乾亥, 甲卯
丁未
艮寅, 丙午
辛戌
  巽巳, 庚酉
癸丑
坤申, 壬子
乙辰
쌍산 배합
5 사국(四局)
오행
丁未, 坤申
庚酉
辛戌, 乾亥
壬子
  癸丑, 艮寅
甲卯
乙辰, 巽巳
丙午
水口기준
四局 결정
6 성수(星宿)오행
28수(二十八宿)오행
乾,坤,艮,巽 甲,庚,丙,壬
子,午,卯,酉
乙,辛,丁,癸 辰,戌,丑,未 寅,申,巳,亥 좌와 사격의
길흉화복
7 소현공(小玄空)
오행
甲,艮,癸,亥 丙,丁,乙,酉 庚,戌,丑,未 乾,坤,卯,午 壬,子,寅,辰
巽,巳,辛,申
向과 水의
來去관계
8 대현공(大玄空)
오행
壬,午,坤,辛
申,戌
甲,巽,癸,酉
未,亥
  子,寅,乙,辰
乾,丙
丑,艮,卯,巳
丁,庚
향(向)으로
長生을 봄
9 홍범(洪範)
오행
艮,卯,巳 壬,乙,丙,午 癸,丑,未,坤
丁,酉,乾,亥 子,寅,甲,辰
巽,辛,申,戌
장택에서
산운과 연운
10 오음(五音) 아음(牙音)
ㄱ,ㅋ
설음(舌音)
ㄴ,ㄷ,ㄹ,ㅌ
후음(喉音)
ㅇ,ㅎ
치음(齒音)
ㅅ,ㅈ,ㅊ
순음(脣音)
ㅁ,ㅂ,ㅍ
 
11 수(數)오행 3 , 8 2 , 7 5 , 10 4 , 9 1 , 6  
12 방위(方位)
오행
동(東) 남(南) 중앙(中央) 서(西) 북(北)  
13 오상(五常)오행 인(仁) 예(禮) 신(信) 의(義) 지(智)  
14 절기(節氣) 봄(春) 여름(夏) 사계(四季) 가을(秋) 겨울(冬)  
15 색(色) 청색(靑) 빨강(赤) 노랑(黃) 흰색(白) 검정(黑)  
16 맛(味) 신맛(酸) 쓴맛(苦) 단맛(甘) 매운맛(辛) 짠맛(鹹) 鹹: 짤 함
17 오체(五體) 마음(心) 체온(溫) 살(肉) 호흡(息) 피(血) 息: 숨쉴 식
18 오장육부 및
질환
간장(肝臟)
쓸개(담膽)신경,얼굴
두통
심장(心臟)
소장(小腸)눈병,편두
고혈압증
비위(脾胃)
위장(胃腸)피부,당료
복부
폐장(肺臟)
대장(大腸)근골,사지
호흡질환
신장(腎臟)
방광(膀胱)자궁,혈액
생식기
 
19 오관(五官) 눈(目) 혀(舌) 몸(身) 코(鼻) 귀(耳)  
20 상생상극
(相生相剋)
木生火
木剋土
火生土
火剋金
土生金
土剋水
金生水
金剋木
水生木
水剋土
 


● 60갑자와 납음오행(納音五行)
천간과 지지가 합한 60갑자에도 다음과 같이 오행이 존재한다. 남녀의 궁합, 망명(亡命)과 산운(山運)의 오행 상생상극 관계를 따져 길흉화복을 논하는데 사용한다. 오행의 크기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수생목(水生木)이라 하나, 대해수(大海水)와 같이 큰물이 석류목(石榴木)과 같이 작은 나무를 생 해주면 오히려 죽이는 꼴이 된다. 금극목(金剋木)이라 하나, 금박금(金箔金)과 같이 작은 쇠가 대림목(大林木)같이 큰 나무를 자를 수는 없다. 오히려 작은칼은 부러진다.

[60갑자 납음오행]
甲子
乙丑
해중금
海中金
丙寅
丁卯
노중화
爐中火
戊辰
己巳
대림목
大林木
庚午
辛未
노방토
路傍土
壬申
癸酉
검봉금
劍鋒金
甲戌
乙亥
산두화
山頭火
丙子
丁丑
간하수
澗下水
戊寅
己卯
성두토
城頭土
庚辰
辛巳
백납금
白蠟金
壬午
癸未
양류목
楊柳木
甲申
乙酉
천중수
泉中水
丙戌
丁亥
옥상토
屋上土
戊子
己丑
벽력화
霹靂火
庚寅
辛卯
송백목
松柏木
壬辰
癸巳
장류수
長流水
甲午
乙未
사중금
砂中金
丙申
丁酉
산하화
山下火
戊戌
己亥
평지목
平地木
庚子
辛丑
벽상토
壁上土
壬寅
癸卯
금박금
金箔金
甲辰
乙巳
복등화
覆燈火
丙午
丁未
천하수
天河水
戊申
己酉
대역토
大驛土
庚戌
辛亥
채천금
釵釧金
壬子
癸丑
상자목
桑?木
甲寅
乙卯
대계수
大溪水
丙辰
丁巳
사중토
沙中土
戊午
己未
천상화
天上火
庚申
辛酉
석류목
石榴木
壬戌
癸亥
대해수
大海水
爐:화로 로    傍:곁 방   劍:칼 검    鋒:칼끝 봉  澗:산골물 간  ?:땜납 납
楊:버드나무 양  泉:샘 천   屋:집 옥    霹:벼락 벽  靂:벼락 력   壁:울타리,벽 벽
箔:발 박     覆:덮을 복  燈:등잔 등   釵:비녀 채  釧:팔지 천   ?:산뽕나무 자
溪:시내 계    榴:석류 류  柏:잣나무 백  驛:역참 역  桑:뽕나무 상  沙:모래 사


◎ 오행의 합충살형 (五行의 合?煞刑)

● 간합(干合) : 천간(天干)의 음과 양이 6번째 것끼리 합하여 다른 오행이 된다. 오합(五合), 음양합(陰陽合)이라고 하며, 부부와 같이 다정하다는 의미에서 덕합(德合)이라고도 부른다.

갑기합토(甲己合土) 을경합금(乙庚合金) 병신합수(丙辛合水) 정임합목(丁壬合木) 무계합화(戊癸合火)


● 간충(干?) : 천간의 음양이 같은 것끼리 부딪쳐 충돌한다. 파괴, 파산, 이별, 분리, 살상, 비애, 질병, 수술 등을 나타낸다. 7번째 천간끼리 서로 상충(相沖)한다 하여 칠살(七殺)이라고도 한다.

갑경충(甲庚?) 을신충(乙辛?) 병임충(丙壬?) 정계충(丁癸?) 무갑충(戊甲?)
기을충(己乙?) 경병충(庚丙?) 신정충(辛丁?) 임무충(壬戊?) 계기충(癸己?)


● 지합(支合), 육합(六合) : 지지(地支)의 음과 양이 합하여 다른 오행으로 변한다. 모두 6개이므로 육합(六合)이라고 한다. 단, 午와 未는 합해도 오행이 변하지 않는다.

자축합토(子丑合土) 인해합목(寅亥合木) 묘술합화(卯戌合火)
진유합금(辰酉合金) 사신합수(巳申合水) 오미(午未)는 불변화(不變化)


● 지충(支?) : 음양이 같은 지지(地支)끼리 서로 마주보며 충을 한다. 간충(干?)이 가지가 흔들릴 정도의 충돌라면, 지충(地?)은 뿌리가 흔들려 상할 정도의 강한 충돌이다. 그러므로 그 화(禍)가 더욱 심하다.

자오충(子午?) 축미충(丑未?) 인신충(寅申?) 묘유충(卯酉?) 진술충(辰戌?) 사해충(巳亥?)


● 형살(刑煞) : 형(刑)이란 질서를 어지럽히고 예절에 어긋나는 것을 말한다. 무정하고 횡폭하여 불쾌감을 줄 수 있다. 형벌을 관장한다.

자묘형(子卯刑) 인사형(寅巳刑) 사신형(巳申刑) 인신형(寅申刑) 축술형(丑戌刑) 축미형(丑未刑) 미술형(未戌刑)
이밖에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는 자형(自刑)이다.


● 지지육해(地支六害) : 해(害)는 은혜 가운데에 원수가 되어 해롭다는 뜻이다. 거추장스럽고 장애물이 잇따라 일어나는 형태를 말한다.

자미해(子未害) 축오해(丑午害) 인사해(寅巳害) 묘진해(卯辰害) 해신해(亥申害) 유술해(酉戌害)


● 원진(怨嗔) : 서로 싫어한다는 의미다. 원진 띠끼리 결혼하면 원망과 불평이 많아 고생한다는 말도 있다.

자미(子未) 축오(丑午) 인유(寅酉) 묘신(卯申) 진해(辰亥) 사술(巳戌)

출처 : 음양오행의 개요

비밀번호 수정 및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댓글 수정

PASSWORD :

/ byte

PASSWORD : 확인 취소



  • 메뉴버튼
  • 위로버튼
  • 아래로버튼

고객센터

031-898-1813

010-4306-9054

평일 09:00 ~ 17:00

주말 토요일, 일요일 휴무

*공휴일 휴무

은행정보

농협은행 355-0086-6757-53

예 금 주 서복희(풍물쇼핑몰)

택배 아이콘

대한통운 배송조회

주문상품의 배송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전 제품다음 제품

TOP


풍수인테리어 소품